멤풀(Mempool)
비트코인 풀 노드는 트랜잭션을 수집하여 블록에 담고 작업증명을 진행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만약 수집한 트랜잭션을 블록에 포함하기 전에 임시로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면, 트랜잭션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등장한 것이 바로 멤풀입니다.
멤풀은 '메모리 풀(Memory pool)'의 약자입니다. 트랜잭션을 임시로 저장하는 공간이 풀 노드의 메모리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메모리는 휘발성 저장소 입니다. 따라서 만약 풀 노드가 종료된다면, 멤풀 역시 사라집니다. 결론적으로 멤풀에 오래 남아있는 트랜잭션은 시간이 지날수록 없어지게 됩니다.
만약 트랜잭션이 블록에 포함된다면 해당 트랜잭션은 멤풀에서 제거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멤풀은 지속적으로 변경되면서 유지됩니다.
지금까지 멤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어지는 글들
'비트코인 > 비트코인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구조] BIP32: HD지갑(Hierarchical Deterministic Wallet) (0) | 2023.01.10 |
---|---|
[비트코인 구조] BIP39: 니모닉(Mnemonic)과 시드(Seed) (0) | 2023.01.09 |
[비트코인 구조] 메시지 헤더와 주요 메시지 (0) | 2023.01.06 |
[비트코인 구조] 네트워크 요청과 응답 (0) | 2023.01.03 |
[비트코인 구조] P2P 네트워크 연결 (0) | 2023.01.02 |